1.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에 맞추어 프레젠테이션 구성
2. 내용 발표를 어떻게 효과적으로 할지에 대해서도 각 파트별로 고민 및 점검
3. 듣는 사람으로 하여금 흥미를 유발하고,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이 효과적으로 잘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표현을 선택하기
4. 프레젠테이션 발표 관련 질의응답에 대해 준비하기
영어 프레젠테이션의 마지막 파트인 질의응답 준비와 참고할 수 있는 표현들에 대해 공유해보려 합니다.
효과적인 PT를 위해 꼭 염두 해볼 사항:
1. What is the goal of your presentation?
2. Who is your audiance? What do we need to know?
3. What are the main points of the presentation? Why is this important?
모든 질의사항에 대해 준비하기는 어려울 테지만, 프레젠테이션을 구상하고 준비하면서 예상되는 질의사항들에 대해 생각해 보고 준비해본다면, 질의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프레젠테이션의 마무리를 잘 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효과적인 질의응답을 위해 질의사항을 하기 카테고리로 구분 준비해 봅니다.
1. Questions you expect and can answer
2. Questions you would expect but would find difficult to answer
3. Questions you wouldn't want to someone to ask and would find very difficult to answer
질의응답하기
Repeat the question
질문의 내용을 답변하기 앞서, 질의 내용을 반복하여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 질의 내용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질의 내용을 놓친 다른 청중들에게, 질의 내용을 확인해 주고 답변 내용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 질의 내용을 답변하기 위한 생각할 수 있는 시간을 만들어줍니다.
참고 표현
You want to know...
If I understand the question correctly, you would like to know...
You're asking me whether...
You're wondering...
Using good question
양질의 질문을 활용하여 프레젠테이션 내용을 보충 또는 정리합니다.
- 양질의 질문은 답변하는 과정에서 프레젠테이션에서 다루지 못한 추가적인 내용이나 자세한 내용을 설명할 수 있는 기회를 주므로, 적극적으로 호응한 후 답변하도록 노력합니다.
참고 표현
That's really good question,
I'm glad that you asked that question,
That's an interesting question,
Ah Yes, Thank you for reminding me,
Unnecessary question
양질의 질문이 있는가 하면, 프레젠테이션과정에서 이미 설명이나 답변이 가능한 질의에 대해서는 시간을 조절하고 청중의 집중도를 방해하지 않기 위해 적정하게 필터링을 하여 효과적인 마무리가 될 수 있도록 합니다.
참고 표현
When I spoke about... earlier, I mentioned that...
As I mentioned earlier...
Perhaps I didn't make that clear...
Off-Topic question
프레젠테이션 주제와 개연성이 적은 질의에 대해서는 양해를 구하고 적정하게 필터링합니다.
참고 표현
I'm sorry but I don't see the connection here
I'm sorry but I don't quite follow you
To be honest, I think that raise a different issue. Maybe we could discuss it afterwards?
Difficult question
질의 내용에 대해 적정한 답변을 준비하지 못한 경우, 혹은 답변이 어려운 경우 솔직히 현장에서 즉흥적으로 답변이 어려움을 설명하고 추후 팔로업을 공지해 주거나, 답변을 도와줄 수 있는 담당자나 방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합니다.
다만, 답변을 여러 번 회피하게 되면 준비가 불충분하거나 주제에 대한 이해도가 낮은 것으로 비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참고 표현
I'm afraid I don't know, but I will find out and get back to you.
To be honest, I don't know. Can I get back to you about that?
I'm afraid I'm not in a position to comment on that(that's not my area of expertise). It would be better to ask my colleague who can help me to answer that, would that be okay with you? ( invite or inform someone who can help you to answer)
I'm afraid I don’t have that information to hand, but I'd be happy to forward it to you if you give me your contact details.
Checknig for satisfaction
질의에 대해 답변 이후에는, 답변 내용이 질의 내용에 대해 충분했는지에 대해 확인해 줌으로써 전문적이고 안정적인 마무리가 될 수 있도록 합니다. 모든 답변에 확인을 할 필요는 없으며, 답변 내용이 질의 내용에 충실했다고 생각될 때 확인해 주면 더욱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Does that answer your question?
I hope that answer your question
Would you like me to elaborate further?
I hope I've managed to clarify that for you
Is that what you wanted to know?
앞서 프레젠테이션의 준비한 내용들이 잘 마무리될 수 있도록 질의응답에도 사전 준비를 해둔다면, 조금 더 효과적인 프레젠테이션이 될 거라 생각되네요~
Practice makes perfect
꾸준한 연습이 완벽을 만든다